내가 STL에 조예가 깊어서 글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Effecitve STL 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이 글을 보고,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과, 혹시 내가 틀린것이 있다면 지적해 주시지 않을까 란 생각으로 글을 올리는것임을 미리 밝힙니다. - 최익필 이번 항목에서는 정렬을 하고자 할때, 이용되는 sort 라는 함수들의 효율을 정확히 파악해 두어 사용하라는 것이다. sort 알고리즘은 sort, stable_sort, partial_sort, nth_element, partition가 있고,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지 정리해보자. Sequence Container 이거나 배열이라는 조건 하에서 1. 전체 정렬을 할 때, sort 나 stable_sort 2. 상위 n개의 요소만 순서에 맞추어 뽑아내고자 할..
sort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항목 31 : 정렬시의 선택 사항들을 제대로 파악해 놓자.
책 정리/Effective STL
2008. 9. 2. 14:16
항목 23 : 연관 컨테이너 대신에 정렬된 vector를 쓰는 것이 좋을 때가 있다.
"좋을 때가 있다" 이런 문구가 들어가면, 조금 복잡해 지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다. 왜냐하면, 경우에 따라서 달라지는 상황에 대해서 판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제목을 다시 정리하지만 "연관 컨테이너(Associative Containers)보다 연속 컨테이너(Sequence Containers)의 vector가 더 좋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 vector가 더 좋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로 이번 항목은 시작 되었다. 연관 컨테이너(Associative Containers)는 탐색에 특화된 컨테이너라 할 수 있는데, 이 탐색이란 것은 "C 배우는 알고리즘"에서 나와 있는 비슷한 방법으로 행해지게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정리 글의 범주에서 벗어 나므로 생략하고, 구글에서 "균형 이진 트리" 라고 구글..
책 정리/Effective STL
2008. 7. 22. 09:03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