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항목은 항목 9에서 더 생각해 봐야 할 것 들을 이번 항목에서 다룬다. 이번 항목에선 "export의 한계"가 있음에도 불과하고, 왜 표준에 들어갔으며, 프로그래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본다. 1 ) export가 현재 현태로 C++ 표준에 도입된 것은 언제이며, 처음으로 구현된 적은 언제인가? 템플릿에 관한 역사 1988년 10월, 비야네 스트롭스트룹이 초기 C++ 템플릿 설계를 발표 1990년, 마거릿 엘리스(Margaret Ellis)와 비야네 스트롭스트룹은 "The Annotated C++ Reference Manual"을 출판하였고, 거기에 템플릿의 전체 명세와 설명을 포함시켰다. 1994년, Stepanov가 STL을 위원회에 제시했다. 1995년, STL은 표준안으로 채용 되었..
export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항목 10 : export의 한계, 2부 : 상호작용, 유용성 문제, 지침들 ( 난이도 : 9 )
책 정리/Exceptional C++ Style
2009. 1. 13. 02:07
항목 9 : export의 한계, 1부 : 기초 ( 난이도 : 7 )
"export의 한계"라 표현한 것 보면, 무엇인가 기대한것에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추측이 된다. 그런데 이 export 는 무슨 export 일까? 바로 템플릿의 export 이다. .. export 는 템플릿 말고, 몇개 더 있는거 같던데(라이브러리 만들때, 아니였나 만들어 본적이 없어서..), 이번 항목은 "템플릿의 export 함계"라고 말해도 좋을 듯 싶다. 질문으로 논쟁을 유도해 보자. 1 ) 템플릿의 "포함 모형"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 부스트의 hpp 같은 녀석들이랄까? 헤더 파일에 정의도 다 포함된 녀석들을 뜻한다. 대표적인 예로 stl 을 들 수 있겠다. 2 ) 템플릿의 "분리 모형"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h 와 .cpp 로 헤더파일과 정의 부분을 나누어서,..
책 정리/Exceptional C++ Style
2009. 1. 13. 00:41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