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패턴은 생성(Creational), 구조(Structural), 행위(Behavioral) 패턴으로 나눌 수 있는 디자인 패턴 중 행위 패턴에 속합니다. 포스팅 이유무엇인가 이해하려 할 때, 다른 관점에서 이해 한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해를 기록해 두기 위해 남깁니다.관련 링크http://hyeonstorage.tistory.com/146http://arabiannight.tistory.com/entry/%EC%9E%90%EB%B0%94Java-%ED%8C%A8%ED%84%B4-1%EC%8A%A4%ED%8A%B8%EB%9E%98%ED%8B%B0%EC%A7%80-%ED%8C%A8%ED%84%B4Strategy-Pattern http://blog.naver.com/yeji_rang?Redirec..
패턴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디자인 패턴, 행위 패턴, 스트래티지 패턴(Strategy Pattern)
연구실/파편화된 기록들
2015. 3. 15. 21:04
항목 38: "has-a(...는...를가짐)" 혹은 "is-implemented-in-terms-of(...는...를 써서 구현됨)"를 모형화 할 때는 객체 합성을 사용하자.
저번장까지는 설계에 관한 이야기보다는 상속시 유의해야 되는 부분이 강조되었다면, 이번 항목은 .. 설계에 관한 부분이다. 나는 지금까지 private 상속이면 "is-implemented-in-terms-of(...는...를 써서 구현됨)" 이고 클래스 내부에서 객체선언하면 "has-a(...는...를가짐)" 이다 라고 이해했지만, 이것은 잘못된 이해이다. 각각은 추상화된 설계 패턴의 일부분이라는 것이다. 이 패턴 들은 객체 합성으로(.. 이라고 불리지만, 레이어링, 포함 통합 내장 으로도 불린다)으로 만들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시 제목을 봐보자.. 항목 38: "has-a(...는...를가짐)" 혹은 "is-implemented-in-terms-of(...는...를 써서 구현됨)"를 모형화 할 ..
책 정리/Effective C++ 3판
2008. 7. 18. 11:55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