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69 : 합리적인 오류 처리 방식을 수립하고, 엄격히 그 방식을 따르라. ( Establish a rational error handling policy, and follow it strictly. )
{ 이 항목은 몸에 와 닿지 않는다. 아무래도 이런 개발 프로세스를 사용해 본적이 한번도 없기 때문이다. 회사에서 로그를 남기는 것으로 처리 하는게 아마도 이런 개발 프로세스 인것 같다. 이것이 왜 중요한가? 보통은 안써도 크게 무리 없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거나, 프로젝트에 붙는 사람들의 숫자가 많아 질 수록 프로젝트의 관리도 더불어 힘들어 진다. 그러면서 디버깅은 점점 힘들어 진다. 만약 오류의 처리 방식, 보고 방식, 표현 방식이 정해져 있다면 좀 더 편할 것이다. 책에서는 모라고 하는가? 개발 초기에 먼저 정하고 개발하라고 한다. 어떻게 정하는가? 오류를 우선 식별하는 기준을 정한다. 예를 들어 babo_num > 30 이면 오류이다. 라고 정한다. 그리고 오류의 수준을 정한다. babo_nu..
책 정리/C++ Coding Standards : C++ 코딩의 정석
2009. 4. 17. 00:11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