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auto_ptr 효과적으로 사용 해라. 이유 1. 생성단계에서 동적메모리 할당시 메모리 릭이 발생할수 있기 때문이다. 구현 방법 1. 역시 메모리 할당을 auto_ptr(이런 성격의 객체)이 받으면 된다. 예) auto_ptr test; 선언 후 초기화 리스트에서 초기화! new를 호출하여 초기화 주의점 1. auto_ptr 사용시 소유권이란 개념이 분명히 존재하므로 잘 이해하고 적재적소에 써야 한다. 개인적인 생각 1. 클래스 내부에서 메모리 누수를 막는 방법이 제일 좋은것 같다. 왜냐하면 객체의 생성 자체가 메모리 할당을 동반하는 작업이 많이 때문이다. 클래스 외부에서 이런 메모리 누수처리를 한다면, 정말 힘든 세상이 될것같다. 집안 싸움은 집안에서 끝내야 한다는 속담이 떠오른다. 참조 사항..
책 정리 검색 결과
부재 : 함수 내부의 동적 메모리 할당은 auto_ptr(의 성격으로 이해하면 더 좋을듯) 을 사용 해라! 이유 1. 소멸자는 객체 소멸시 반드시 호출 되는 성질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소멸자가 호출 안되는 에외도 있으나, 그건 차후에 설명하겠다고 스캇은 말한다.) 구현 방법 1. 동적메모리 할당시 반환되는 메모리를 인자로 같는 객체의 생성자를 만들고, 소멸자에 이 인자를 지워 준다. 효과 1. 함수 내부에서 예외가 발생하여, 함수 루틴이 종류가 되어도 객체는 소멸되기 때문에 삭제가 된다. 대표적 사례 1. 기본 지원되는 auto_ptr 을 사용하면 손쉽게 구현 가능하다. 2. auto_ptr 에 대해서 인터넷 검사면, 그 개념이 잡힐것이다. 간단한것은 스스로 만들어 써도 되지만 MEC++ 읽는 사람이라..
예외 처리 개념 위키 백과 : http://ko.wikipedia.org/wiki/%EC%98%88%EC%99%B8_%EC%B2%98%EB%A6%AC 이번 예외처리는 중요한부분을 8 챕터로 More Effecitve C++ 에서 설명한다. 항목 9 : 리소스 누수를 피하는 방법의 정공은 소멸자이다. 항목 10 : 생성자에서는 리소스 누수가 일어나지 앟게 하자. 항목 11 : 소멸자에서는 예외가 탈출하지 못하게 하자. 항목 12 : 예외 발생이 매개변수 전달 혹은 가상 함수 호출과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 하자 항목 13 : 발생한 예외는 참조자를 받아내자 항목 14 : 예외 지정 기능은 내철하게 사용하자. 항목 15 : 예외 처리에 드는 비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자. .. 이렇게 설명 되어 진다. 인터넷에서..
부재 : new와 operator new 의 차이점에 대해서 숙지해라. 이유 1. operator new 와 new 는 엄연히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해결방법 .. 각 차이점을 이해 한다. new 연산자는 1. 오버로딩이 안된다. 2. 내부적으로 operator new를 호출한다. 3. 생성자를 호출한다. 4. 객체형 포인터를 반환한다. operator new 는 1. 메모리 할당을 받는다. 2. void *형을 반환한다. delete 역시 마찬가지다. operator new 와 operator delete 는 C++ 판 malloc 과 free 함수 이다. 배열을 new 할때의 차이점 1. new는 똑같지만 내부적으로 operator new[] 를 호출 한다. 2. 그리고 각각 new에 의해서 생성자..
개념 정리 1. 단축 평가 의미 구조 : 왼쪽평가후 오른쪽 평가 하는데, 왼쪽 평가가 거짓이면 오른쪽평가는 하지 않는다. 2. 함수 호출 의미 구조 : 매개변수는 다 평가 해야함 (단축 평가자체를 할수 없음) 두개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유 1. && ||를 오버로딩 하면, 단축평가 메카니즘을 사용 할수 없어 효율이 떨어짐 2. , 오버로딩하며느 고유의 기능을 사용 할수 없게 됨 해결 방법 1. 원래 연산자처럼 동작하게 만들 수 없으므로, 오버로딩 하지말라. 개인적인 생각 1. 단축평가 메카니즘과 , 연산의 경우, 프로그래머가 어떻게 손써볼 방법이 없으므로, 고유의 동작 방식을 구현할수 없다고 이해 된다. 2. 단축 평가의 이점 단축 평가는 평가 도중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그 뒤의 평가를 전부..
부재 : 전위 연산자와 후위연산자의 특징을 이해하고, 전위 후위연산자 오버로딩 시 원칙을 지켜라. 이유 1. 알맞은 클래스 설계를 위해서 (사실 이 말 밖에 없다..) 해결방법 1. 전위 연산자와 후위연산자의 특징을 이해 해라.(밑의 코드를 이해 하면 .. 뭐 다 아는거다.) 2. 전위/후위 연산자를 오버로딩 할땐, 전위 연산자로 후위 연산자를 표현하는 원칙을 지킨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규칙이기 때문이다) 3. 아리송할땐 객체가 int와 동일한 연산을 할수 있도록 정의해 준다. 코드 // 전위 연산자 작동 원리 : 0개의 임시객체를 만드는것을 알수 있다. template _T& operator++() { *this += 1; // 임시객체 생성 안함, 바로 연산처리함 return *this; // 레..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