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정리/놀라운 수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원리
18장, 정규분포곡선
최익필
2010. 3. 11. 03:03
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놀라운 수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원리"를 읽고, 정리한 것이며, 내가 이해한 것이 틀리다면, 피드백을 받기 위해서, 나 스스로가 공부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로 쓰여지길 바래서 만들었다. - 익필
Content
1. 무엇을 정규분포곡선 이라고 하는가?
곡선이란 점들의 집합이 이다. 정규분포란 한 집합의 분포 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분포 라고 하는가? 일정한 범위에 흩어져 있는 것을 뜻한다. 범위는 최소값과 최소값 사이를 뜻하므로, 이를 모두 종합해 보면
정규분포곡선이란, 한 집합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흩어져 있는 것을 점들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부터 기존에 배운것들을 응용하면, 몇가지 규칙을 찾을 수 있다.
- 표준편차가 클수록 정규분포곡선은 완만한 형태를 띄우며, 표준편차가 작을 수록 중앙값(대표값의 일종)이 볼록 튀어나온 형태가 된다.
- 중앙값, 최빈값(빈도수가 제일 많은 값), 평균값이 정규분포도 곡선에서 같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것과 관련해서 검색을 해 보면, 정보가 더 많이 있는데, 책에서 이 내용만 다루므로 다른건 필요할 때 찾도록 하고, 여기까지만 정리한다.
참조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정규분포 : 용어가 어려워 이해를 못했다. 언제 기회 되면 용어까지 찾아봐야 겠다.
Digression
- 책의 이 내용을 보고 "도대체 이건 어디에 쓰인다는거지?" 라고 생각했으나, 순간 쓰이는 곳이 생각 났다. 바로 다른 사람에게 한 눈에 한 집합의 정보를 전달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것은 boost에 있는 랜덤함수의 해상도를 보여 줄 때, 봤었다.